중국내 고소득층과 사치품 시장 현황 중국 정부가 사치품 단속을 강화하고 있지만 은밀한 사치인 고급 소비재 업계는 호황을 누리고 있다.중국인들의 사치품 소비액은 이 세계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거의 절반에 가까울 정도로 그 규모가 커져 전제적인 국민 소득 수준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1. 중국인들의 사치품 소비규모 (1) 중국인 사치품 소비액 - 2014년 기준1,060억 달러로 전년 대비 4%증가 - 세계시장(2,320억 달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6%로 거의 절반에 육박 (2) 자국내 사치품 소비액은 감소세 - 시진핑 정부의 반부패 정책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됨 (3) 중국인의 해외 사치품 소비액은 증가 추세로 고급 소비재의 존재여부가 중국 관광객의 행선지를 결정할 정도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
중소기업청 2016년 해외진출지원자금 3608억원 지원! 2016년 중소기업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중소기업 해외진출지원자금 (3608억원)이 공급된다. 중소기업청은 올해 수출역량강화, 해외마케팅, 해외규격·인증 등 25개국 해외진출 및 해외마케팅사업에 3608억원을 편성했다. 이는 지난해 2711억 보다 33% 증가한 규모이다. 중국 진출을 생각하고 있는 중소기업은 '차이나하이웨이' 프로그램에 집중을 해야한다. 차이나 하이웨이 프로그램 중국진출 및 현지화를 희망하는 기업에 대해 중국진출 전문컨설팅사와 함께 1) 중국진출 역량진단2) 중국진출 및 현지화전략 수립 전문가 코칭3) 중국진출 및 현지화 로드맵(역량강화방안) 수립4) 해외마케팅, 진출 등을 지원합니다. 중소기업청은 한중 FTA가 발효됨에 따라 중..
중국 화장품 시장동향 2016년 세계적인 경기 침체와 중국의 무역 장벽 강화 움직임 등으로 다양한 국내 산업 분야에서 어려움이 예상되고는있지만 화장품 업계는 최대 수출국인 중국과의 FTA 발효, 식지 않는 한류 화장품 인기 등 올해도 중국 시장이라는가능성이 희망을 갖게 하고 있기 때문이다. 2016년에도 역시 요우커(중국관광객)가 국내 화장품 업계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국내 화장품 업계 성장세는 계속될 전망이다. 올해 2,022억 위안의 시장규모에 달할 것으로 보이며, 2012년~ 2016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은 13.3%로 예측 된다. ■ 수요동향 중국의 공기오염 및 극단적인 날씨의 영향으로 중국 소비자들의 기본적인 피부보호 제품에 대한 수요는 뚜렷하게상승했다. 피부보호용 화장품의 판매량은 미용,..
소비의 주역, ‘요우커’를 모셔라 2015년 중반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여파로 이들의 방문이 잠시 주춤했지만 하반기 접어들면서 어느 정도 과거의 '행렬'을 되찾았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2015년 11월 기준 전체 외국인관광객의 숫자는 115만74명이며 이중 유커는약 43%(50만7579명)의 비중을 차지한다. 2014년 같은 기간에 비해 10.2% 증가한 수치다. 2015년 메르스 사태가 일어났던 6~8월을 제외하면 유커의 숫자는 전년과 비교해 꾸준히 증가했다. 2016년에도 유커의 방문행렬은 계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정부와 면세점이 발 벗고 나섰다.정부는 최근 ‘2016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중국 단체관광객에 대한 비자 발급 수수료(97위안·약 1만7000원)를 2016년 말까..
중국 10대 신흥 발전 도시에 집중하라! 천 개의 시장을 가지고 있다는 중국 더해서 소득수준도 높아지고 있고 국가 정책도 발전지향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어 그에 따라소비도 적극적으로 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류에 대한 맹목적 선호양상도 보임에 따라 한국기업이 이제는 중국 신흥도시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보다 전략적인 중국시장 접근을 위해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의 자료를 인용하여 이들 신흥도시들의 시장특성을 어떤지 살펴보려고 한다. [중국 서부의 신흥도시 청두] ■ 중국 소비확대 정책을 기반으로 소비시장 성장에 대한 강력한 드라이브 중 중국정부의 소비확대 정책은 소비 제약요소를 완화하고, 소비능력을 신장시키며, 소비인프라를 조성하여 소비자 편의를 증대하고, 물가상승률을 조절..
중국, 인터넷을 통한 미인증 화장품 판매 ‘불법’ 판정 정품이라 해도 미인증 제품 판매는 불법 최근 국가식품약품감독관리총국(CFDA)은 수입품 구매대행 합법여부 문제에 대해 최근 비교적 명확한 태도를 서면을 통해 밝혔다. 위챗 공식계정 ‘화장품 등록 서비스센터’ 보도에 따르면, 장쑤성(江蘇省) 식품약품 감독관리국은 미비준 수입 화장품 구매대행조사를 거친 후 그 처리방안을 고민하다가 CFDA에 지시요청서를 보냈다. 지시요청서에 따르면 올해 1월 난징(南京) 치샤구(栖霞) 시장 감독관리국에서 쑤닝이거우 플랫폼의 ‘한국패션타운 플래그 스토어’에서 구매한 수입화장품이 가짜라는 시민의 제보를 받았다. 그 후 단속요원들이 현장 사무실에 가서 조사한 결과, 해당 안건은 전형적인 인터넷 거래 플랫폼을 통해 미인증 수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