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딕션 (ADDICTION) 왕홍 마케팅 업무진행 글로벌 코스메틱 기업 '고세(KOSE)'의 메이크업 전문브랜드 '어딕션(ADDICTION)'이 지난 6월 28일, 29일 이틀에 거쳐 명동에 위치한 면세점에서 K-뷰티 메이크업쇼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이날 뷰티행사는 저희 엠플러스아시아에서 왕홍 마케팅을 기획하였으며 중국의 떠오르는 뷰티아티스트 ‘리밍져’와 뷰티 셀럽 ‘소비아’ 그리고 중국 뷰티 종합사이트인 PC LADY 에디터들을 초청하여 메이크업 쇼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뷰티 아티스트 '리밍져' (좌) / 뷰티 셀럽 '소피아' (우) 뷰티 아티스트 ‘리밍져’는 웨이보 팔로워 161만명, 셀럽 ‘소피아’는 웨이보 팔로워 56만명을 보유한 왕홍으로 이날 행사는 라이브 앱 ‘메이파이’와 ‘MEERLIVE’을..
클레어스 게리쏭 미디어데이 중국마케팅 업무수행 7월 1일 오후 서울 강남 청담씨네시티에서 뷰티 기업 ‘클레어스코리아’의 마유 스킨케어 브랜드 ‘게리쏭’의 신제품을 소개하는 게리쏭 미디어데이를 진행하였다. 이날 행사에는 배우 이광수, 가수 정준영, 래퍼 치타가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중국 전문 광고대행사 엠플러스아시아는 중국 뷰티 잡지매체인 Cosmopolitan, Elle, Bazaar, Marieclaire 매체사 에디터들과 뷰티 온라인 매체사인 PC LADY 에디터를 초청하여 클레어스코리아 게리쏭 미디어데이를 중국 전역에 알릴 수 있도록 진행하였다. 또한, 중국 현지 코스메틱 편집샵인 뷰티클럽 CEO 및 중국 유명 CF감독을 초청하여게리쏭 미디어데이 자리를 풍성하게 만들었다. 미디어데이 영상 및 컨텐..
■중국 소셜 미디어 마케팅의 특징 소셜네트워크(Social Network)는 개방과 참여의 웹 2.0 시대를 대표하는 키워드로 대인 관계를 넓힐 수 있는 플랫폼을 가리킨다. 이러한 소셜네트워크는 개인간의 일상을 공유하는 단계에서 개인 전문가나 기업이 팔로워(Follower)에게 영향력을 펼칠 수 있는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로 점차 발전하고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소셜 미디어 상에서 공개된 데이터를 통해 기업은 사용자에 관한 정확한 위치 등 많은 정보를 습득할 수도 있는데, 이를 활용해 소셜 미디어 광고를 하여 일반적인 마케팅(광고 및 홍보)보다 더 큰 효과를 얻는 것을 ‘소셜 미디어 마케팅’ 혹은 ‘소셜 마케팅’이라고 한다. 여전히 경제 성장기에 있는 중국은 13억 5천만 명의 인구와 ..
중국 애완동물 시장의 급성장 중국에서 키우는 애완동물(강아지, 고양이)은약 8550만 마리로 미국에 이어 세계2위한국(1000만 마리)의 9배 규모중국 가구의 7% 3000만 가구 애완견 소유 애완동물 산업으 성장은 생활수준의 향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만큼 베이징, 상하이, 청두 등 대도시 위주로 발전 중국의 50세 이상 고령 인구의 30%가 애완동물을 키우며 이처럼 중국인들이 애완동물을 많이 키우는 이유는 핵가족화와 노령화, 부의 과시와 관련 최근 1~2인 가구의 급증 및 인구 고령화로 홀로 사는 외로움을 해소하기 윈해 애완 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시장 확대애완동물이 가족의 일부라는 인식으로 인해 관리 및 미용 등의 서비스 시장의 소비도 확대 애완동물 수 증가에 따라 펫푸드를 비롯한 관련 산..
중국 웹드라마시장 폭발적 성장-10억 뷰 이상 작품 12편에 달해 1. 웹드라마 제작량 증가, 폭발적 성장기 진입 2012~2014년 웹드라마 제작량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증가, 2015년도 30% 증가 2. 동영상 플랫폼 경쟁 심화, 후발 주자의 기세도 만만치 않아 가장 먼저 자체 제작 콘텐츠에 뛰어든 유쿠, 웹드라마 최초 1억 뷰 달성소후비디오의 제작량 완만히 증가, 꾸준한 성장세후발주자 러스의 기세 맹렬, 제작량과 경쟁력 1위 4. 2015년 웹드라마 작품성, 영향력 증가 5대 동영상 플랫폼의 조회수 10억 뷰 이상 웹드라마의 75%가 2015년에 제작2014년 제작된 웬드라마의 평균 조회수 가장 높아 5. 조회수 10억 뷰 이상 아이치이-소후비디오 웹드라마 비중 83%러스, 텐센트비디오 제작..
중국, 세계 최대 드라마 소비시장 1. 중국은 시계 최대의 드라마 소비시장 2. 드라마 제작시장은 매년 16% 급속 성장 3. 민영 제작사 수 급증 4. 드라마 편당 가격 매년 상승 5. 영상분야 콘텐츠 시장규모 더 커질 전망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