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립대 항공운항학과 세상에서 가장 큰 항공기 AN225 안토노프 AN225는 세상에서 가장 큰 비행기로 알려져 있는데요 (구)소련에서 제작된 이 기체는 소련의 우주왕복선 부란을 수송하기 위하여 개발 되었습니다 1988년 11월 21일 첫 비행을 하였으며 3시간 반 동안 이륙 중량 50만 8200kg 페이로드 15만6300kg으로 2,000km의일주 코스를 고도 1만 2340m에서 시속 813km의 속도로 비행하면서 한꺼번에106개의 세계 기록을 세우기도 했습니다. 이륙 최대 중량은 600톤에 이르는데 보잉 747의 이륙 중량보다 200톤이나 더 많은 중량입니다. 대량의 화물을 적재한 채로 이륙해야 하기 때문에 무려 1기당 51.670 lbf 출력을내는 이브첸코-프로그레스 D-18T 터보펜 엔진을 6개 ..
보잉 747 비행기 비상착륙 영상 보잉 747 비상착륙하는 영상입니다우측 랜딩기어 없이 3개만으로 착륙에 성공하는데요~ 항공기 기장님의 스킬이 어마어마 합니다!! --------------------- 미주립대 항공학위과정 2018학년도 7기 신입생 선발!! 항공운항학과, 항공정비학과 입학설명회 노스다코타 외 총 6개 대학 지원 가능! 2017년 11월 25일 (토) 오후 1시 특별초청게스트: 유타주립대, 유타밸리대 수석교수님 https://www.facebook.com/globalelitepilot/
왜? 미국대학 항공운항학과로 진학을 할까? 미래의 유망직업으로 손 꼽히는 항공조종사가 되고 싶다구요? 국제민간 항공기구 ICAO가 발표한 전세계 항공사의 인력 소요 예측은약 114만 8천명 입니다 (2034년까지) 약 55만 8천명의 신규 조종사와 약 59만명의 비행 기술자 수요가 있죠 항공운항학과 출신 조종사 평균 연봉은 약 1억원이며 항공정비사 및 기술자들은 6천~7천만원입니다 높은 연봉과 안정성을 바탕으로 미래 유망직업으로도 주목 받고 있습니다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경력이 많은 기장의 러브콜이 많으며국내보다 파격적 조건을 내세우며 해외항공사 인력을 적극 유치중 입니다. 그럼 과연 왜? 미국 항공유학을 가는건가요? 1. 교육과정세계 최고의 항공 국가인 미국에서 교육훈련을 받아 항공 전문자격을 갖..
조종사되는법: 항공운항학과 미국유학 미주립대 항공학위 과정 2018년 1월 학기 특별전형 모집요강내신과 면접전형만으로 미주립대 항공운항학과에 진학하자! 1.모집 기간 : 2017년 8월 21일(월) 까지 2.모집 인원 : 3명 3.모집 대상 : 98년 이전 출생자 (재수생, 대학재학생, 대학졸업생) 4.지원방법 1) 온라인 지원: 이메일(globalpilot@guardiansair.com)로제출서류 스캔본 또는 파일제출2) 방문접수: 입학지원서류를 미주립대 글로벌 항공 학위과정 운영센터로 방문하여 제출3) 우편접수: 반드시등기우편으로 발송해야 하며 원서접수 마감일 도착 분에 한하여 접수 5.상담 문의 : 02) 6958-9412 ※ 추후일정 개별 통보 미주립대 글로벌 항공학위과정 학생들의 성공사례는 계속..
[ 설명회 신청 ]http://goo.gl/forms/Q5GiEpbIxl 미주립대 항공운항학위과정에서 2018학년도 1월학기 입학설명회를 진행합니다2017년 3월 18일 토요일 국제조종사교육원 3층 대회의실에서 개최하오니 많은 관심 부탁 드립니다. 항공산업은 미래 유망직업으로 이미 많이 소개 되었습니다.해외 항공사에서 국내 항공 조종사들에게 더욱 좋은 조건으로 러브콜을 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저가항공사의 발전으로 꾸준하게 조종사 및 항공업무 관계자를 원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꿈꿔왔던 조종사의 꿈 미주립대 항공학위과정에서 이루시길 바랍니다. 1. 토플, 수능성적(SAT) 없이 서류와 면접만으로 입학가능2. 미국대학 항공운항학과 4년제 정식 학사 학위 취득3. FAA 면장 취득으로 글로벌한 경쟁력 확보4...
[항공지식] 항공 디아이싱 / Aircraft Deicing 오늘 새벽 엄청난 폭설로 인하여 항공기운항에 많은 차질이 생겼는데요 기체에 쌓인 눈과 얼음 조각 등을 녹이는 제빙 작업 등에 따른 지연으로 연쇄적으로 늦어질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항공기에 쌓인 눈은 가능한 많이 치우고 이후에 제빙액을 뿌립니다. 보통 De-icing (디아이싱)이라고 하며 결빙상태를 제거해주기도 하고 항공기가 순항고도에 오르기전까지 얼음이 얼지 않게 유지해줍니다. 영상을 보시면 아~~ 이게 그거였어? 라고 하시는분들도 많을거 같네요 저도 항공기에 탑승한 이후에 창가에 앉아 밖을 바라보며 몇번 본 장면이에요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