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크리에이터를 이용한 MCN 채널을 노려라! 크리에이터란?1인 미디어라고 불리기도 하며 게임, 음식, 뷰티 등 다양한 콘텐츠를 가지고 방속을 제작, 공유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MCN이란?Multi - Channel Network의 줄임말로 크리에이터들의 마케팅, 저작권 관리, 콘텐츠 유통분야, 방송제작 등을 지원하고 크리에이터에게 붙는 광고를 유치해 수익을 나눠 갖는 사업. MCN 이외에도 OVS (Online Video Studio), ITC(Internet Television Company)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며즉, 크리에이터들의 '기획사' 라고 할 수 있다. MCN 시장 현황 - 한국 내 시장 현황한국 MCN 산업은 아직 태동기로 전체 시장규모를 집계하기 어렵기 때문에 MCN 주요 수입원인..
안녕하세요~ 중국 오징어 봉봉이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서 기업과 청년들에게 해외 진출을 지원하고 실무형 중국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2016 KEEP 한중교량 프로젝트 참가자를 모집하고 있어 이렇게 정보공유차 글을 작성 하게 되었습니다. ^^ 중국 전문가 멘토의 지도 아래 시장 조사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현지 출장을 통한 바이어 매칭등 실제 중국시장에서의 활동 경험을 통해 실무 능력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이번 프로젝트에 관심 있는 분들의 참여 바랍니다~ - KEEP 프로젝트 공식카페 : http://cafe.naver.com/keepproject - KEEP 프로젝트 운영사무국 * 이메일 : keep_project@naver.com* 전화번호 : 02) 6082-9934
마윈의 세계 전자무역 플랫폼 구상 마윈의 세계 전자무역 플랫폼 구상 -세계 전자무역 플랫폼 구상 배경과 내용 마윈(馬雲) 알리바바 회장은 중국 하이난(海南)에서 열린 보아오포럼에 참석해 세계 전자무역 플랫폼에 대한 구상을 다음과 같이 밝혔다. 지금까지 세계화를 통해 이익을 얻은 것은 다국적 기업과 대기업뿐이며, 개발도상국과 중소기업, 젊은이들은 혜택을 받지 못했다. 물론WTO가 있었기에 세계 경제가 지금까지 발전할 수 있었지만, WTO 출범 이후부터 현재까지 WTO나 정부 간 논의에서 기업가와 무역업체는 배제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많은 중소기업과 젊은이들, 여성 창업자들이 세계 무역에서 혜택을 얻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문제이자 해결해야 하는 과제이다. 인터넷을 이용해 세계 기업과 은행, 인프..
2016년 중국 춘절기간 소비 동향 2016년 춘절(중국의 음력 설, 2월 7~13일)기간 동안 예상과 달리 소비 확대 춘절은 1년 중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의 대표적인 소비 특수 기간이지만, 올해에는 성장률 둔화와 경기 침체로 춘절 소비시장의 위축을 우려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었다.그러나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전국 소매판매 및 요식업계 매출액이 7,540억 위안(약 140조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남(전년동기대비 11.2% 증가). 또한 중국 최대 신용카드회사인 유니온페이 데이터에 따르면 같은 기간 총 카드결제액이 3,121억 위안 (약 58조원)으로 집계되었다.(전년동기대비 31% 증가)쇼핑, 외식 등 일상용품 소비를 위한 카드결제액이 1,000억 위안 이상으로, 마트, 대형가전제품 판매점, 백화점에..
중국 소비시장 공략법 중국인들이 전 세계 사치품의 절반 정도를 소비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소비재 수출 비중은 일본의 1/2, 미국의 1/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소비시장에 대한 제대로 된 분석이 필요하다. 이제는 저가 정책이 아닌 한국의 프리미엄 제품으로 공략해야 한다. 한국무역협회 북경지부에서 발표한 ‘중국의 고급 소비재 시장 동향과 프리미엄 마케팅 방안’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인의 1인당 GDP는 7,500달러(2014년) 정도로 높은 수준은 아니지만 그에 반해 사치품 소비액은 1,060억 달러로 세계시장(2,320억 달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6%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중국인들의 소비경향을 살펴보면 자국 내 사치품 구매액은 전체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250억 달러에 그..
중국의 각 대형 위성 방송사들과 온라인 동영상 사이트들이 앞다투어 스폰서를 유치하던 시기는 이미 지났다. 방송 플랫폼의 편성 계획이 점차 뚜렷해지고 있다. 최근 드러난 몇 가지 현상들을 통해 2016년 드라마 시장의 급격한 정세 변화를 예측해 볼 수 있다. 2016년에는 출중한 외모의 배우가 출연한 드라마와 웹소설, 온라인 게임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가 큰 인기를 얻을 것으로 보인다. 2016년에는 각 대형 위성방송사의 황금 시간대 드라마의 편성이 축소됐지만 드라마에 대한 투자는 전보다 증가했다. 대형 위성방송사의 ‘독점 방송’ 전략은 위성방송사 간의 경쟁인 동시에 자본 경쟁이다. 주말 드라마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각 위성방송사간의 드라마 경쟁이 주말 예능 프로그램 경쟁만큼 치열한 상황이다.[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