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립대 항공운항학과 세상에서 가장 큰 항공기 AN225 안토노프 AN225는 세상에서 가장 큰 비행기로 알려져 있는데요 (구)소련에서 제작된 이 기체는 소련의 우주왕복선 부란을 수송하기 위하여 개발 되었습니다 1988년 11월 21일 첫 비행을 하였으며 3시간 반 동안 이륙 중량 50만 8200kg 페이로드 15만6300kg으로 2,000km의일주 코스를 고도 1만 2340m에서 시속 813km의 속도로 비행하면서 한꺼번에106개의 세계 기록을 세우기도 했습니다. 이륙 최대 중량은 600톤에 이르는데 보잉 747의 이륙 중량보다 200톤이나 더 많은 중량입니다. 대량의 화물을 적재한 채로 이륙해야 하기 때문에 무려 1기당 51.670 lbf 출력을내는 이브첸코-프로그레스 D-18T 터보펜 엔진을 6개 ..
보잉 747 비행기 비상착륙 영상 보잉 747 비상착륙하는 영상입니다우측 랜딩기어 없이 3개만으로 착륙에 성공하는데요~ 항공기 기장님의 스킬이 어마어마 합니다!! --------------------- 미주립대 항공학위과정 2018학년도 7기 신입생 선발!! 항공운항학과, 항공정비학과 입학설명회 노스다코타 외 총 6개 대학 지원 가능! 2017년 11월 25일 (토) 오후 1시 특별초청게스트: 유타주립대, 유타밸리대 수석교수님 https://www.facebook.com/globalelitepilot/
왜? 미국대학 항공운항학과로 진학을 할까? 미래의 유망직업으로 손 꼽히는 항공조종사가 되고 싶다구요? 국제민간 항공기구 ICAO가 발표한 전세계 항공사의 인력 소요 예측은약 114만 8천명 입니다 (2034년까지) 약 55만 8천명의 신규 조종사와 약 59만명의 비행 기술자 수요가 있죠 항공운항학과 출신 조종사 평균 연봉은 약 1억원이며 항공정비사 및 기술자들은 6천~7천만원입니다 높은 연봉과 안정성을 바탕으로 미래 유망직업으로도 주목 받고 있습니다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경력이 많은 기장의 러브콜이 많으며국내보다 파격적 조건을 내세우며 해외항공사 인력을 적극 유치중 입니다. 그럼 과연 왜? 미국 항공유학을 가는건가요? 1. 교육과정세계 최고의 항공 국가인 미국에서 교육훈련을 받아 항공 전문자격을 갖..
잠깐만요!! 중국 하이난 항공의 새로운 유니폼 한번 보고가실께요 ^^ 중국 하이난 항공의 새 유니폼이 아름다운 디자인으로 변경 되었답니다 :) 중국 전통의상 치파오에서 모티프를 얻어 제작 되었고 완성까지 천번의 스케치 끝에 지금의 유니폼이 완성 되었습니다 전체적으로 푸른 빛을 띄는 하이난 항공의 유니폼은 구름, 산, 바다 등 자연의 이미지가 담겨있고베레모와 함께 착용하는 케이프 코트도 인상적:) 남성 유니폼 역시 중국 옷깃에 연회색의 긴코트가 멋스러우며 여성 유니폼과 참 잘 어우리죠? 새 유니폼은 올 연말부터 착용할 예정이랍니다 지금 보시는 이미지는 변경 전 유니폼 이구요~ 확연하게 더 이뻐진거 같죠? 푸른 창공에서 항공운항을 꿈꾸는 모든분들 홧팅!!
국내 최초 승무원 출신 기장이신 이혜정 기장님의 EBS 뉴스 인터뷰 영상입니다. 1996년 아시아나항공 기장을 시작으로 현재는 진에어에서 근무중이며 약 20년간 1만 1600여 시간 비행 기록을 보유 하셨답니다 여성 조종사를 꿈꾸시는분들이 보면 참 좋겠다는 생각에 업로드 합니다 :)
항공운항학과: 2017년 항공조종사 직업전망 항공조종사 업무 항공기조종사는 항공기(여객기, 화물수송기 등)가 정해진 시간에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도착할 수 있도록 조종한다.사람이나 화물을 실어 나르는 일 이외에 탐색, 구조, 항공측량 활동, 새로운 비행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테스트 비행을 할 때도 있다. 비행에 앞서 항로, 목적지, 기상조건 등을 숙지하고 연료량, 항공기 상태, 조종실 시스템 등을 점검한다. 관제탑과 교신을 주고받으며 항공교통관제사의 지시에 따라 이착륙한다. 또 비행 중에 생기는 모든 상황을 판단하는 기장(captain)으로서 승무원들의 활동을 지휘하며 착륙이 완료되면 운항일지를 기록하고, 비행 중 발생한 설비상의 문제나 이상 현상을 정비부서에 보고한다. 항공기에는 대개 기장과 부기장,..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